숫자 제대로 읽기 ① 실수와 비율을 구분합시다.
데이터 분석에서는 분석 기법도 중요하지만 데이터를 읽고 해석해야 합니다. 잘못 해석하면 엉뚱한 결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죠.
이번 시리즈는 데이터를 읽을 때 정말정말 기본적이지만 놓치기도 쉬운 다섯 가지 숫자 읽기 팁을 다뤄보려고 해요.
오늘은 이 중에서 '실수'와 '비율'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숫자 읽기 시리즈
1. 실수와 비율을 구분합시다. (이번 포스팅)
2. 비율 재료 뜯어보기
3. 추세와 지속은 다릅니다.
4. 기간이 있는 유량, 스냅샷을 찍는 저량
5. 평균 만으로 비교해도 될까요? 대표값의 함정
실수와 비율, 뭐가 다를까?
숫자를 볼 때는 어떤 값을 절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상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둘은 어떻게 비교할까요?
- 실수는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단순한 값(value)입니다. 덧셈과 뺄셈을 하더라도 측정 단위가 변화되지 않죠. 분수식 없이 그 숫자 자체로 의미가 있습니다. 특정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때 사용합니다.
- 비율은 분수로 표현한 값입니다. 분수식 또는 '~대비' 라는 표현이 자주 쓰이죠. 분수로 표현되는 이유는 기준이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것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대적으로 값을 추출합니다. 단위도 %, 배율, 지수처럼 원래 숫자와는 다르죠.
이해하기 쉽게 표로 정리해 봤어요!
실수 | 비율 | |
의미 |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절대적인 수치 | 특정 기준에 따른 상대적인 값을 나타낸 값 |
표현 | 단위값으로 표현 |
분수식으로 표현 (기준값이 있음) 분모, 분자의 단위가 그대로 적용되지 않음 |
예시 | ∙ 책 수량 (권) ∙ 사용자 수 (명) ∙ 페이지 뷰 (횟수) ∙ 가격 (원) ∙ 매출액 (원) ∙ 몸무게 (kg) ∙ 길이 (km / m / cm / mm) ∙ 증감폭 = |현재값 - 이전값| |
∙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 (올해 N월 수치 - 작년 N월 수치) / 작년 N월 수치 X 100(%) ∙ 한국 영화 중 멜로 장르 영화 비중 = 한국 영화 중 멜로 영화 수 (편) / 한국 영화 수 (편) X 100(%) ∙ 성비 = 남성 인구 수 / 여성 인구수 X 100 ∙장바구니 구매 전환율 = (장바구니에 담은 사용자 중)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 수 /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은 사용자 수 ∙ ROI (Return on Investment) = 이익(원) / 투자액(원) X 100 |
실수와 비율을 읽을 때는 이렇게.
숫자가 있을 때 바로 숫자를 보는 것보다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렇게 실수 또는 비율 데이터가 있을 때 어떻게 보는 것이 좋을지 알아볼까요?
1️⃣ 실수와 비율은 같이 보는 것이 좋습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때 손흥민 선수의 차량이 화제였죠. 그가 보유한 차의 총 가치는 150만 파운드로, 우리 돈으로 약 24억 원이라고 합니다. 사치가 너무 심한 걸까요?
24억 자체는 엄청난 숫자이지만, 기준이 손흥민 선수가 벌어들이는 돈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그의 연봉은 988만 파운드, 한화로 약 151억 3,887만 원입니다(2023년 2월 환율 기준). 주급만 약 3억인데요.
광고료와 본인 브랜드 사업 등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을 굳이 셈하지 않더라도 일반인은 상상도 하기 힘든 금액을 벌고 있습니다.
24억은 한 해 연봉의 16% 정도 되네요?
반면 2021년 우리나라 평균 연봉은 4,024만 원입니다. 그리고 가장 저렴한 경차 모델인 쉐보레 스파크의 깡통 모델가는 977만 원입니다(2021년 기준). 평균 연봉의 약 24%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실수만 보면 차 가격만 보고 턱이 빠질 만하지만, 상대값을 가지고 비교해보면 손흥민 선수는 매우 검소하다는 해석을 할 수도 있는 거죠.
비율만 비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 회사 대표가 한 투자 설명회에서 '우리는 지난 분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1,000%가 넘는다'고 말합니다.
좋은 시그널이니 무조건 투자해야 할까요?
흠.. 아리쏭한데요..
여기에 몇 가지 정보를 더 추가해 보겠습니다.
① A 회사와 같은 산업군에 있는 B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 매출은 지난 분기에 비해 100% 늘었습니다.
② A 회사는 지난 분기에 1천 만 원을 벌었습니다.
③ B 회사는 지난 분기에 2억 원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이 정보를 다시 한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2022년 3분기 매출 | 2022년 4분기 매출 | 매출 증가폭 | 매출 증가율 | |
A사 | 1천 만 원 | 1억 원 | 9천 만 원 | 1000% |
B사 | 2억 원 | 4억 원 | 2억 원 | 100% |
성장률만 비교해 보면 A 회사가 압도적으로 보이지만, 기준이 되는 지난 분기의 매출과 함께 고려하면 B 회사의 매출 증가분이 더 큽니다.
어떤 회사를 선택할 지는 의사 결정을 하는 사람의 몫입니다.
하지만 판단하기 전에 최대한 다양한 각도에서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죠.
2️⃣ 차이를 본다면 어떤 차이인지 파악합니다.
숫자의 차이를 해석할 때는 '어떤 차이'를 보는지 알아야 합니다.
실수의 폭 차이, 비율 차이, 배율 차이, 비율 간 차이 등 어떤 차이를 보는 지에 따라 차이를 읽는 단위나 해석이 달라질 수 있어요.
2023년 1월 기준 서울 인구수
인구 수 (명) | 인구 비중 (%) | |
남성 | 4,567,739 | 48.5 |
여성 | 4,857,134 | 51.5 |
합계 | 9,424,873 | 100 |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 서울시 여성 인구 수는 남자 인구 수보다 289,395 명 많습니다. (계산식 : 여성 인구 수 - 남성 인구 수)
∙ 여성 인구는 남성 인구에 비해 6.3% 많습니다. (계산식 : (여성 인구 수 / 남성 인구 수 - 1)X100(%))
∙ 남자 인구는 여자 인구의 0.94배 입니다. (계산식 : 남성 인구 수 / 여성 인구 수)
∙ 남성 인구의 비중은 여성 인구 비중에 비해 3%p 낮습니다. (계산식 : 여성 인구 비중 - 남성 인구 비중)
3️⃣ 지렛대를 이용해 빈칸을 채워봅니다.
속력 구하는 식 기억 나시나요?
속력 = 거리 / 시간
요 식을 가지고 거리도 구했다, 속력도 구했다 시간도 구했다 많은 문제를 풀었던 게 기억나는데요!
여기에서 포인트는 '두 가지의 값을 알고 있다면 나머지 값을 유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면 표면에 안 보이는 다른 숫자들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마치 빈칸 채우기처럼 말이죠!
빈칸 숫자들을 함께 보면 데이터를 더 풍성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를 해석해 볼까요?
"K게임즈는 2022년 매출은 1조 1,500억원으로 전년대비 15%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1,650억원으로 전년대비 60% 증가했다"
2021년 | 2022년 | 전년 대비 증가율 (%) | |
매출 (억 원) | ① 10,000 | 11,500 | 15 |
영업이익 (억 원) | ② 1031.25 | 1,650 | 60 |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X 100 (%)) |
③ 10.31 | 14.35 |
Q. K게임즈의 2021년 매출(①)은 얼마일까요?
A. 1조
① + ① X 15% = 11,500
① = 11,500 / 1.15
= 10,000 (1조)
Q. K게임즈의 2022년 영업 이익률은 2021년(③)에 비해 높아졌을까요, 낮아졌을까요?
A. 높아졌음 (2021년 영업 이익률 (10.31%) < 2022년 영업 이익률 (14.35%))
② = 1,650 / 1.6
= 1031.25
③ = ② / ① X 100 (%)
= 10.31 (%)
실수와 비율, 이렇게 보세요 (요약)
숫자를 볼 때는 우리가 보고자 하는 수치나 우리가 볼 수 있는 값이 '실수'인지 '비율'인지 우선 확인하고
여러 각도에서 균형있게 뜯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과 같이 해석해보면 실수와 비율 자료를 다양하게, 꼼꼼히 읽을 수 있습니다.
1️⃣ 실수와 비율은 같이 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차이를 본다면 어떤 차이인지 파악합니다.
3️⃣ 지렛대를 이용해 빈칸을 채워봅니다.
다음에는 '비율'이라는 재료를 좀 더 뜯어볼 수 있는 팁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1. [기사] 작년 평균연봉 4,024만 원 ... 억대 100만 명 돌파 - 연합뉴스 (2022.12)
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21207018200641
2. [기사] 너무한 경차 가격... 900만원대 경차 사라지고 1300만원은 내야 "깡통 경차" 구입 - autoview (2022.02)
https://www.autoview.co.kr/content/article.asp?num_code=75838&news_section=news&pageshow=1
3. [기사] 2년 연속 매출 1조 돌파…카카오게임즈, 올해 글로벌 확장 정조준(종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20615?sid=105
4. [웹페이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
5. [웹페이지] 손흥민 선수 정보 - capology
https://www.capology.com/player/heung-min-son-33793/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