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석가의 책장/독서기록

[그로스해킹] 다른 관점에서 그로스해킹 책 읽어보기

by 니나노래방 2024. 11. 10.

 

들어가며

취업 준비를 하며 교과서처럼 보던 책이 <그로스해킹>이었습니다. 고객을 유치하는 단계부터 추천까지의 모든 성장 과정을 트래킹하고, 제품을 실험해서 성장하게 하는 과정이 너무 흥미로웠습니다. 언젠가는 그로스해킹 내에 있던 프레임워크들을 꼭 써먹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지요.
 
그런데 지금은 당연하게 여겼던 '전제'들을 다시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로스해킹>을 접했을 때 두 가지 마음이 들었어요. 하나는 '너무 다른 영역이지 않을까?'하는 마음입니다. 앱이나 웹 등 사용자의 활동 로그가 남는 서비스에 더 적합한 개념일 수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그래도 우리 서비스 안에 녹일 수 있는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었습니다. 완전히 다른 접근 같지만 비슷하게 쓸 수 있는 영역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그로스해킹과 동떨어진 서비스의 입장에서 책을 보는 것도 재미있을 거라는 기대가 생겼습니다.
 
이 책을 다른 입장에서 읽으며 또 새로운 깨우침을 얻게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글을 열어보았습니다. 
 
 

책의 내용

제품-시장 적합성 (Product Market Fit)

'우리가 만든 제품이나 서비스가 그로스 해킹을 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제품을 만들 때 원하지 않는 서비스에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시장에 적합하게 수렴하도록 하려면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그 질문은 1) 문제가 정말 문제인지 2) 우리가 문제를 해결하는지 3) 어떤 가설이 있는지, 가설은 검증되었는지입니다.
이걸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리서치를 하거나 NPS 등의 태도 지표를 보거나, 전환율 또는 리텐션 분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실제 사용 여부나 지속적 사용 여부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 기반 접근

지표 접근에는 두 가지 접근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과업 기반 접근(Task-based)'와 '프레임워크 기반 접근(Framework-based)'입니다. 두 접근법의 가장 큰 차이는 일과 지표 설계의 순서입니다. 과업 기반 접근은 일을 규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지표를 수립합니다. 반면 후자는 목표에 따라 지표를 먼저 설계해보고, 그 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업을 설정합니다. 과업 기반 접근은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모니터링 지표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 관리를 위한 관리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프레임워크 기반 접근은 사용자가 중점이 되며, 전체 서비스에서의 최적화를 할 수 있습니다.
 

느낀 점

신규 제품이 잘 적응하고 있는지 지표로 확인해보자.

회사에 신규 제품에 대한 트래킹을 해야하는 일이 있다면, 신규 제품이 잘 되고 있는지 어떻게 확인할까'에 대한 고민을 책의 '제품-시장 적합성'에서 해소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전사적인 관점에서 조망해본다면?

프레임워크 기반은 최근 조직에서 많이 보이는 '목적 조직'에서, 과업 기반은 전통 조직에서 많이 보이는 '기능 조직'에서 보일 수 있는 패턴으로 보입니다. 특정 목표에 따라 생겨나고 운영되는 목적조직과 달리, 기능 조직에서는 기능 간 사일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기능 조직에서도 (완전하지 않지만) 프레임워크 기반 관점을 어느정도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요? 프레임워크 기반의 특성 중 하나는 '전체 최적화'입니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지표에 대한 우선순위를 한번 더 결정해보는 것이죠. 이를 위해서는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표 간 상충 관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각 조직에서 어떤 지표를 다루고 있는지 리스트업 하며, 전사 관점에서 더 중요한 지표는 무엇인지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사 데이터를 다루는 관점에서 각 기능 별로 어떤 지표를 중시하는지 전체적인 지도를 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마치며

이번주에는 <그로스해킹>을 읽은 소회와, 제품-시장 적합성, 프레임워크 기반 지표 사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부터는 본격적인 AARRR 에 대한 내용을 흥미롭게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