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석가의 책장/독서기록20

[자기계발] '공헌'이라는 북극성을 만들자 -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③ 들어가며 오늘은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중 '공헌'이라는 포인트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채용 공고를 보면 기업이 '주인의식 (혹은 오너십)'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저도 참 이 말이 이해가 되지 않았었죠..! 😂😂 책을 읽으면서 오늘 얘기하는 '공헌'이 바로 이 오너십과 가장 닮은 모습이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직장인으로서 또 스스로의 삶을 경영하는 사람으로서 어떤 마인드를 가져야 하는지도 배울 수 있었던 파트였습니다. 책의 목차와는 조금 다르게, 공헌을 제 나름대로 해석해보면서 정리한 내용을 말씀드릴게요! 책의 내용 공헌이라는 건 무엇일까? 피터드러커는 '공헌'에 대해서 이렇게 생각해보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①내가 속한 조직이 ②성과를 내고 좋은 결과를 내는 데 ③나는 어떤 공헌을 할 .. 2023. 11. 8.
[자기계발] 경영자는 '시간'도 '관리'한다 -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② 들어가며 제가 있던 한 커뮤니티에서 어떤 분을 보고 감탄을 거듭한 적이 있습니다. 정말 바쁜 분이었는데, 저보다 더 많은 책을 읽고 토론하고 각종 모임, 스터디에 커리어 개발까지 뚝딱 해내셨습니다. '그가 과연 사람일까?' 싶더라고요. 그런데 이분은 그렇게 시간을 관리하는 게 생각보다 가능하다며, '시간을 기록해보니까 남는 시간이 꽤 된다'는 아리쏭한 말을 남겼어요🧐. 그분 추천으로 앱을 냉큼 구입했는데, 생각보다.. 관리가 잘 되진 않았습니다. 시간이라는 것은 여전히 잘 다루고 싶지만, 맘처럼 잘 되지는 않는 영역입니다. 그래도 이 부분을 정리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것은 '시간'이 정말 절대적인 가치라는 것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더욱 피터드러커의 메시지를 익히고 싶었습니다. 2회독을 하면서 .. 2023. 11. 1.
[자기계발] 지식근로자의 마인드셋이란 -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들어가며 : 지식 근로자는 어떻게 일해야 할까? 일을 하면서 항상 고민이었던, 잘 해결되지 않았던 고민들이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었는데요. 특히 조직에서 성과를 내는 근로자는 어떤 마인드로 어떤 관점으로 일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매일 8시간을 꼬박 일하면 일을 잘하는 걸까?" "구성원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것 외에 분석가로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를 읽은 이유는 이런 고민 때문이었는데요. 이 책에서는 크게 세 가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첫째, 현대 사회에서 지식 근로자 역할이 커지고 있으며, 지식 근로자는 '경영자'와 같다. 둘째, 경영자는 목표 달성 능력을 극대화 해야 한다. 셋째, 목표 달성 능력은 .. 2023. 10. 24.
[데이터] 쉽게 이해하는 '숫자'의 세계 -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들어가며 : 데이터, 생각 없이 읽으면 '독' 됩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의 의사결정 과정을 거칩니다. 그 배경에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과거 경험이 만들어낸 무의식적인 데이터들(직감, 통찰)도 있고, 관행이라는 사회적 데이터도 있으며, 정말 숫자로 근거를 판단해야 하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데이터 드리븐(Data driven)'이라는 표현도 어느덧 익숙해진 지금입니다. 숫자를 보고 판단하고 결정을 내리는 일이 전보다는 더 자주 일어납니다. 사실 데이터 그 자체로 신빙성이 있는 것 같기도 해요. 다른 게 아니라 데이터가 이랬다고 하면 '응 그렇지' 하고 납득할 것 같고요. 하지만 생각해 봅시다. '숫자'는 정말 만능일까요? 숫자 만으로 모든 것을 결정할 수 있을까요?' 사실 데이터는 '기록'에 불과.. 2023. 2. 24.
[데이터] 데이터 분석의 힘 들어가며 데이터 분석의 힘은 데이터 분석가들이 꼭 소개해주시는 책입니다(다른 책도 한참 쌓여있긴 합니다). 데이터 분석을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인 ‘인과관계’에 대해 궁금하다면 꼭 봐야 하는데요. 평소 ‘인과관계’라고 대충 넘어가는 것이 사실 인과관계가 아닐 수 있다는 시점부터 머리를 한 대 얻어 맞았던 기억이 납니다. (아😭 그동안 내가 원하는 결론으로 결과를 끼워맞췄구나.. 하는?) ⌜데이터 분석의 힘⌟ 한 달 스터디를 하며 중요하다고 생각한 부분과 느낀 점을 정리해 봤습니다. 전체 목차 1장 정말 광고가 아이스크림 매출을 올렸을까 : 데이터의 상관관계는 인과관계가 아니다 2장 오바마 캠프는 어떻게 후원금을 ‘더’ 모았을까 : 최선의 데이터 분석법, RCT 3장 70세가 되자 병원을 많이 가기 시작.. 2023. 2. 19.